
서울특별시 나눔진료봉사단
나눔진료봉사단 사업은 서울시 재난ㆍ재해 발생 시 산하병원 간의 연합의료연계 구축을 통한 통합적 의료지원활동을 수행하고자 2009년 발족되었으며 평상시에는 민간의료기관에서 담당하기 어려운 의료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지역사회 밀착형 의료지원 활동을 수행하고 있으며, 2021년 총 18회 연인원 1,143명을 대상으로 의료서비스를 제공하였습니다.
※ 참여병원 : 서울의료원, 서남병원, 북부병원, 서북병원, 어린이병원, 보라매병원, 동부병원, 은평병원
세부 사업별 추진실적
추진방향 | 세부사업 | 주요 내용 | 실적 | |
---|---|---|---|---|
횟수 | 인원 | |||
예방 | 예방접종 | 쪽방거주자 및 노숙인 등 독감접종 | 13 | 1,130 |
진료 | 응급구호 의료지원 | 서울역 인근 거리노숙인 대상 진료 등 (혹서기, 혹한기) | 서울시 광장 집회활동 중지 및 코로나19 상황으로 현장 활동 중단 | |
서울역 진료봉사 | 서울역 인근 노숙인 및 쪽방거주자, 취약계층 대상 무료진료 | |||
2차 연계 | 2차연계 의료지원 | 노숙인 및 쪽방거주자 중 의료지원이 필요한 자에 대한 의료지원 | 5 | 13 |
합계 | 18 | 1,143 |


북한이탈주민 의료지원
북한이탈주민 지원 사업은 북한이탈주민의 하나원 퇴소 후 건강관리가 지속적 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건강 취약상태 발생 및 비용문제로 병원 이용 기피현상이 발생하여 문제점 해결을 위해 북한이탈주민 대상 건강 증진을 위한 포괄적인 지원 사업입니다.
세부 사업별 수행실적
세부사업 | 주요내용 |
---|---|
상담실 운영 | 의료정보 제공 및 각종 지원 안내 |
치과진료 사업 | 틀니, 보철 지원 |
건강증진지원 사업 | 건강검진(만성질환, 대사증후군)및 이상소견자 추구관리 지원 |
상담실 운영 사업 추진 실적
구분 | 인원 |
---|---|
전화상담 | 244명 |
방문상담 | 829명 |
합계 | 1,073명 |
치과진료사업 추진 실적
구분 | 인원 |
---|---|
틀니 | 2명 |
보철 | 29명 |
합계 | 31명 |
건강증진지원사업 추진 실적
구분 | 인원 |
---|---|
검사 | 13명 |
고위험군 진료지원 | 10명 |
합계 | 23명 |
공공의료심포지엄
코로나19에 따른 공공병원의 역할이 확대되고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향후 공공병원이 나아갈 방향과 미래를 고민하고 보편적 공공성에 가려진 건강취약계층의 필수의료제공을 위한 문제점과 방향성에 대해 논의하고자 제8회 공공의료 심포지엄을 개최하였습니다.
연번 | 일자 | 내용 | 강사성명 | 장소 | 참여인원 |
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021.01.07 | 제8회 서울의료원 공공의료 심포지엄 주제 : 코로나 속 공공의료 |
최재필, 부선희, 최영아, 김경희, 김귀숙, 송제형 | 서울의료원 5층 세미나실 온라인 심포지엄 | 196명 |
개발도상국 보건의료교류지원
개발도상국 보건의료교류지원 사업은 OECD/DAC 국가에 대한 보건의료지원 활동으로 해당 국가의 보건의료 역량강화 및 환경 개선을 위해 지원하는 사업으로, 서울의료원은 키르기스스탄, 투르크메니스탄을 대상으로 보건의료 인력 훈련 및 교육 사업을 진행해오고 있습니다.
세부내용 | 추진실적 |
---|---|
한·중앙아(키르기스스탄) 감염병 전문가 웨비나 참석 | 1회 |
※ 서울시 공공병원의 코로나19 대응 역할 분담 사례 발표
서울케어-서울의료원 건강돌봄 네트워크
세부 사업별 수행실적
단위사업 | 구 분 | 실적 |
---|---|---|
의료지원 | 연인원 | 110명 |
의료비지원 | 66건 | |
지원금액 | 31,999천원 | |
만성질환자 사례관리 | 실인원 | 25명 |
사례관리 횟수 | 95회 | |
지역사회 협력활동 | 사업홍보 | 1회 |
유관기관 간담회 | 8회 | |
스마트케어 앱 유지 및 관리 | 건강수첩 서비스 | 진행 중 |
의뢰구분별 현황
(단위 : 명)
지역사회에서 의뢰된 | 지역사회로 의뢰한 | 계 | |||
---|---|---|---|---|---|
실인원 | 연인원 | 실인원 | 연인원 | 실인원 | 연인원 |
18 | 37 | 73 | 73 | 91 | 110 |
기관별 환자 의뢰 현황
(단위 : 명)
시군구청 | 주민센터 | 보건소 | 시립병원 | 민간기관 | 계 |
---|---|---|---|---|---|
- | 4 | 4 | 6 | 4 | 18 |
환자유형별 현황
(단위 : 명)
구분 | 입원 | 외래 | 계 |
---|---|---|---|
건강보험 | 24 | - | 24 |
의료급여1종 | 52 | 3 | 55 |
의료급여2종 | 6 | 1 | 7 |
차상위 | 3 | 1 | 4 |
산재 | 1 | - | 1 |
계 | 86 | 5 | 91 |
지역사회자원연계 현황
(단위 : 건, 명, % / 중복지원 포함)
퇴원 연계 기관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합계 | 구청 | 주민센터 | 보건소 | 복지관 | 정신건강 복지센터 |
정신질환 관련시설 |
노숙인 관련시설 |
기타 | ||||||||||||||||||||||||||
113 | 4 | 66 | 26 | 2 | 2 | - | 1 | 12 | ||||||||||||||||||||||||||
연계 자원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합계 | 사례관리 | 찾동 | 방문간호 | 건강돌봄 | CBR | 든든케어 | 돌봄SOS | 재택의료 | ||||||||||||||||||||||||||
129 | 11 | - | 2 | 12 | 4 | - | 33 | 2 | ||||||||||||||||||||||||||
외국인 관련서비스 |
주민등록 지원 |
급종전환 | 장기요양 | 장애등록 | 영양지원 | 이송지원 | *기타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
- | - | 3 | 8 | - | - | 7 | 47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
※113기관에 129서비스 연계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거주 자치구(실인원) |
합계 | 강북 | 강서 | 관악 | 광진 | 구로 | 노원 | 도봉 | 동작 | 마포 | 서대문 | 성동 | 양천 | 은평 | 중구 | 중랑 | 기타 | 경인 | 지방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91 | 9 | - | 1 | 2 | - | 7 | 3 | - | - | 1 | 1 | - | 3 | 2 | 30 | 27 | 3 | 2 |
사례관리 실인원 | 55 | 사후관리율 | 93 |
*안전귀가 확인서비스, 의료비 지원제도 안내 등
**서울25개구 자치구 중 서울케어-건강돌봄서비스 미운영 자치구
서울시 안전망병원 의료지원
의뢰기관, 진료유형별 의뢰현황 및 지원실적(연인원)
(단위 : 명, 천원)
구분 | 다일천사병원 | 성가복지병원 | 요셉의원 | 계 | ||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건수 | 금액 | 건수 | 금액 | 건수 | 금액 | 건수 | 금액 | |
입원 | 7 | 4,446 | 6 | 61,293 | - | - | 13 | 65,739 |
외래 | 9 | 4,958 | 9 | 5,303 | - | - | 18 | 10,261 |
계 | 16 | 9,404 | 15 | 66,596 | - | - | 31 | 76,000 |
※ 실인원 15명
자원연계 현황
(단위 : 건)
계 | 의료비 지원 연계 | 의료급여 급종전환 |
긴급생계비 연계 |
타병원 연계 |
시설연계 | 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외국인 의료지원 |
긴급지원 | 보건소 AIDS환자 의료지원 |
|||||
5 | - | 1 | - | 4 | - | - | - |
특수건강취약계층 지원
가정폭력피해자, 미등록 외국인근로자 등 사회적 제도권 내에서 의료지원을 받는데 어려움이 있는 대상자에 대한 병원진료 및 지역자원연계 등의 공공보건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.
가정폭력 쉼터입소자 의료지원
단위사업 | 내용 | 실적 |
---|---|---|
정신건강 스크리닝 | 쉼터 신규입소자 대상 정신건강 스크리닝 | 48명 |
의료지원 | 정신건강 고위험대상자 진료연계 | 6명 |
간담회 | 실무자 대상 정신건강 관련 정보제공 및 사례회의 | 1회 |
원내회의 | 업무추진 강화 위한 정신건강의학과와 협력부서회의 | 1회 |
학대피해자 통합지원
단위사업 | 내용 | 실적 | |
---|---|---|---|
학대보호위원회 운영 | 연1회 학대보호위원회 개최 - 원내 학대신고보고 및 자문 지원 |
2회 | |
학대피해자 의료지원 |
아동학대 | 의료지원 및 수사협조 등 | 8명 |
노인학대 | 1명 | ||
가정폭력 | 3명 |
외국인 의료지원 사업
세부사업별 추진실적
세부사업 | 지원대상 | 실적 |
---|---|---|
보건복지부지원사업 | 미등록 외국인근로자 및 그의 임신배우자와 자녀, 난민(신청자) 및 이들의 자녀 등 | 476명 |
서울시 지원사업 | 서울시 주민등록 감염성질환(HIV) 외국인 | 9명 |
계 | 485명 |
환자유형별 현황
구 분 | 입원 | 외래 | 계 |
---|---|---|---|
외국인 근로자 | 106명 | 180명 | 286명 |
외국인 근로자의 자녀 | 23명 | 39명 | 62명 |
난민 | 33명 | 87명 | 120명 |
난민의 자녀 | 4명 | 4명 | 8명 |
감염성질환자 | - | 9명 | 9명 |
계 | 166명 | 319명 | 485명 |
의료지원대상자 국적현황
가나 | 나이지리아 | 남아공 | 네팔 | 라이베리아 | 러시아 | 몽골 | 미얀마 | 이란 | 인도 | 베트남 | 태국 | 스리랑카 | 캄보디아 | 미국 |
9 | 14 | 16 | 4 | 20 | 10 | 89 | 3 | 2 | 6 | 10 | 34 | 14 | 14 | 4 |
인도네시아 | 중국 | 우간다 | 짐바브웨 | 카자흐스탄 | 파키스탄 | 에티오피아 | 모로코 | 기니 | 필리핀 | 카메룬 | 터키 | 말레이시아 | 콩고 | 계 |
10 | 7 | 4 | 3 | 12 | 9 | 9 | 1 | 5 | 130 | 36 | 2 | 5 | 3 | 485명 |
진료과 개입현황(복수진료포함)
진료과 | 진료인원 | 진료과 | 진료인원 |
---|---|---|---|
감염내과 | 228명 | 외과 | 33명 |
비뇨의학과 | 7명 | 이비인후과 | 14명 |
산부인과 | 83명 | 혈액종양내과 | 1명 |
소아청소년과 | 70명 | 호흡기내과 | 4명 |
소화기센터 | 14명 | 흉부외과 | 4명 |
신경과 | 6명 | 순환기내과 | 2명 |
신경외과 | 10명 | 정신과 | 2명 |
안과 | 7명 | 계 | 485명 |
지역사회 협력의료 활동
대학생 정신건강증진사업
중기청소년기인 대학생활에서 겪는 심리적 위기에 대한 정신건강 지원프로그램을 통해 협력대학 내 고위험 대상자에 대한 one-stop지원체계를 구축하여 건강한 대학생활 지원하고 있습니다.
협약대학 : 서울시립대학교, 서울여자대학교, 숙명여자대학교, 서일대학교
세부사업별 추진실적
단위사업 | 내 용 | 실적 |
---|---|---|
one-stop 병원진료지원 | 정신건강의학과 진료연계 | 5건 |
특강 | 재학생 및 교직원 등 대상의 정신건강관련 강의 | 1건 |
간담회 | 고위험군 사례 회의(case conference) 각 기관 및 연합 간담회 | 5회 |
협력대학별 의뢰현황
구 분 | 진료과 | 진료유형 | 미진료 | |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정신건강의학과 | 주요진료 내용 | 외 래 | 입 원 | 응급실 | ||
서울시립대학교 | - | - | - | - | - | - |
서울여자대학교 | 5명 | 주요우울장애 적응장애 |
5명 | - | - | - |
서일대학교 | - | - | - | - | - | - |
숙명여자대학교 | - | - | - | - | - | - |
계 | 5명 | - | 5명 | - | - | - |
지역사회 치매관리지원사업
서울의료원 위탁운영 중인 성동구치매안심센터와의 협력지원 사업으로 치매예방에서부터 진단 치료 등에 대한 통합지원 하고 있습니다.
세부사업별 추진실적
사업명 | 주요사업내용 | 실적 |
---|---|---|
순환형 치매 관리 서비스 |
치매환자 진료연계 | 55명 |
치매환자 지역사회 연계 | 2명 | |
복지서비스 정보제공 | 치매안심센터 복지서비스 정보조사 및 데이터 구축 |
수행완료 |
치매환자 인프라 구축 | 지역사회 및 원내현황 분석 | 수행완료 |
치매환자 의료지원 네트워크 구축 |
협력치매안심센터 실무자 간담회 | 1회 |
원내 협력부서 회의 | 4회 |
환자유형별 현황
성별 | 의료유형 | |||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남 | 여 | 건강보험 | 급여1종 | 급여2종 | 차상위1종 | 차상위2종 |
15명 | 40명 | 46명 | 9명 | - | - | - |
총계 | 55명 | 총계 | 55명 |
진료유형 현황
구 분 | 정신건강의학과 | 신경과 | 계 |
---|---|---|---|
외래 | 20 | 35 (부도: 5건 포함) |
55 |
입원 | - | - | - |
치매 검사비 지원 대상자 | 12 | 13 | 25 |
검사 시행 | 20 | 26 | 46 |
장기요양등급 의사소견서 발급자 | 3 | 7 | 10 |